[OSEN=이인환 기자] 토트넘이 위태롭다. 손흥민이 떠난 뒤 무너진 건 왼쪽 윙이 아니라 ‘재정 구조’였다. 골보다 더 뼈아픈 건, 스폰서가 사라졌다는 사실이다.
영국 ‘풋볼인사이더’는 8일(한국시간) “토트넘 홋스퍼가 2026-2027시즌을 끝으로 메인 스폰서 AIA와 결별할 예정이며, 새로운 유니폼 파트너를 물색 중”이라고 전했다. 문제는 금액이다. 토트넘이 제시한 새 계약 규모는 6000만 파운드(약 1150억 원) — 손흥민이 있을 때는 당연했던 수준이지만, 지금은 구단의 성적과 브랜드 가치 모두 뒷받침되지 않는 ‘희망가’로 평가된다.
AIA는 토트넘의 스폰서였지만, 사실상 ‘손흥민의 스폰서’였다. 2013년부터 이어진 파트너십, 2019년 재계약 당시 8년 총액 3억2000만 파운드(약 6141억 원)의 거대 계약이 체결됐다. 그 중심에는 아시아 시장을 겨냥한 글로벌 보험사의 마케팅 전략이 있었고, 핵심 키워드는 언제나 ‘손흥민’이었다. 손흥민이 뛰던 시기, 토트넘은 아시아 시장 내 유럽 구단 중 최고 수준의 팬층과 상업 매출을 기록했다.
그러나 손흥민이 떠난 뒤, 토트넘은 현실을 직격으로 마주했다. 유니폼 판매량, SNS 팔로워 증가율, 아시아 지역 광고 매출이 동시에 하락했다. 한 구단 관계자는 “이전처럼 ‘손흥민이 있다’는 문장을 스폰서 협상에서 꺼낼 수 없다”고 인정했다. 팬덤과 노출 효과가 사라지자, 글로벌 브랜드들이 토트넘을 ‘1티어’ 마케팅 파트너로 보기 어렵게 됐다.
티켓 수입도 흔들리고 있다. ‘이브닝 스탠다드’는 “토트넘이 챔피언스리그 홈경기 티켓 가격을 인하했다. 최근 두 경기에서 수천 석이 비었고, 도르트문트전은 ‘B등급 경기’로 강등됐다”고 보도했다. 과거 ‘매진 → 프리미엄 가격’ 구조는 사라지고, 지금은 ‘빈 좌석 → 할인 판매’가 일상이 됐다.
문제는 단순한 인기 하락이 아니다. 손흥민의 존재는 단순한 스타 마케팅이 아니라 구단의 ‘외화벌이 시스템’이었다. 그는 토트넘이 아시아 시장에 진입하는 ‘허가증’이었다. 그가 있던 시절, 토트넘은 싱가포르·서울·도쿄 투어를 통해 연간 수백억 원의 광고·관광 수익을 거뒀다. 하지만 손흥민이 떠난 이후, 이 루트는 사실상 차단됐다.
풋볼인사이더는 “토트넘은 리브랜딩을 통해 글로벌 시장 회복을 노리고 있지만, 손흥민이 있던 시절의 브랜드 파워를 재현하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구단은 AIA의 이탈을 대비해 글로벌 IT, 금융, 스포츠 브랜드들과 접촉 중이지만, ‘아시아 시장 1위급 스타’가 없는 현실에서 협상력은 크게 떨어졌다.
스폰서 계약의 재편은 곧 재정 위기로 직결된다. 토트넘은 연간 약 1억 파운드 규모의 상업 수입 중 절반 이상을 AIA와의 계약에 의존해왔다. AIA 계약 종료 이후, 동일한 수준의 스폰서를 확보하지 못한다면 구단 재정에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하다. 이미 구단 내부에서는 ‘연봉 구조 조정’과 ‘마케팅 인력 감축’이 논의되고 있다는 현지 보도도 나왔다.
/mcadoo@osen.co.kr
이인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