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아랍에미리트(UAE)가 글로벌 원자력발전(원전) 시장에 함께 진출한다. 양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인프라를 구축하는 UAE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도 공동으로 추진키로 했다.
UAE를 국빈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아부다비 대통령궁에서 진행한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UAE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대한민국이 양국의 100년 동행을 위해 전방위적으로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며 “형제의 나라에 와서 마음이 편하고 행복하다”고 말했다. 이어 “바라카 원전 사업, 아크 부대 등을 보면 양국의 협력관계가 명확하게 드러난다”며 “이번 방문을 계기로 양국의 협력관계가 더 넓고, 깊고, 특별해지길 바란다”고 했다.
이에 모하메드 대통령은 “첫 중동 순방국으로 UAE를 택하신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얼마 전 (한국이 수출한) 바라카 원전이 성공적으로 운영을 시작했다. 이런 협력이야말로 양국 파트너십이 공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근간”이라고 화답했다. 이어 “향후 과학기술 분야에서 협력 증진을 원한다. 그중에서도 우주 분야와 AI 분야가 유망한 것으로 보인다. 국방 분야에서도 협력의 지평을 넓히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국과 UAE는 ▶전략적 AI 협력 프레임워크 ▶원자력 신기술, AI 및 글로벌 시장 협력 파트너십 등 7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특히 원자력 관련 MOU의 경우 글로벌 원전 시장 공동진출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현지 언론 ‘알 이티하드’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한국은 소형모듈원자로(SMR)를 비롯한 차세대 원자력 기술에서 UAE와 협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며 UAE와 차세대 원전 기술을 바탕으로 제3국 원전 시장에 공동 진출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훈식 “UAE 150억 달러 방산사업, 한국 수주 가능성 커져”
양국은 또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공동 추진을 위해 ‘전략적 AI 협력 프레임워크’를 체결하고, 연내 워킹그룹을 구성해 후속 사업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UAE가 아부다비에 구축 중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총 5GW 규모로 글로벌 최대 데이터센터 클러스터다. 2026년 첫 200㎿급 AI 데이터센터 가동을 목표로 한다. 초기 투자 규모만 30조원 이상인 이 프로젝트에 국내 기업이 참여하게 되면 에너지·배터리·기후테크·데이터센터 운영 기업 등의 글로벌 진출 기회가 확대될 전망이다. 또한 UAE와의 협력은 그간 국내에서 축적한 AI 관련 역량을 국가 전략적으로 해외 시장에 확대하는 첫 번째 사례가 된다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다.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은 현지 브리핑에서 “대규모 AI센터를 건설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원전·가스·재생에너지 등을 함께 활용하는 전력망을 구축한다”며 “반도체 공급망까지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곤 “스타트업 기업이 해외 대규모 사업에 보다 많이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방·방산 협력도 강화된다. 양국은 단순한 수출·구매 구조에서 벗어나 ‘공동 개발, 현지 생산, 제3국 공동 수출’을 함께 추진하고, 한국 국방 장비에 대한 UAE의 독자적인 운영 능력 확보를 지원하기로 했다.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은 “완성형 가치 사슬 협력 모델 구축으로 150억 달러(약 22조원) 규모 이상의 방산 수출 사업에 우리 기업의 수주 가능성을 높이게 될 것”이라며 “중동·아프리카는 물론, 유럽·북미 등 제3국 시장을 확보할 수 있는 교두보가 마련될 것”이라고 밝혔다. ‘150억 달러 규모 이상’과 관련해 강 실장은 “전체 회담이 끝나고 비공개로 (양국 정상) 두 분의 회담이 잠깐 있었다”며 “그 회담에서 모하메드 대통령이 좀 더 많은 협력을 방산과 관련해 요청했다”고 부연했다.
에너지·자원 분야에선 한국과 UAE 석유공사 간 원유 비축사업 규모를 현 400만 배럴에서 1000만 배럴로 확대하기로 했다. 향후 비축사업 규모는 2~3배까지 확대키로 하고 LNG·LPG·암모니아 등도 힘을 모은다.
양국은 또 K컬처와 첨단기술 등의 복합단지인 ‘K시티’를 조성하는 데 합의하고 논의를 구체화하기로 했다. 강 실장은 “방산·AI·K컬처 등 분야에 걸쳐 기대되는 성과가 원화로는 150조원에 달하는 셈”이라며 “이번 정상회담은 실질적인 경제 동맹의 출발이 될 것”이라고 했다. 대통령실은 ‘K시티’ 조성 등으로 인한 중동 지역 K컬처 시장 가치를 2030년까지 704억 달러(약 103조원)로 추산했다.
윤성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