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엔비디아 두 최대 고객, '게인 AI 법안' 지지"
살벌한 AI 경쟁…"아마존·MS, 엔비디아 수출 제한 지지"
WSJ "엔비디아 두 최대 고객, '게인 AI 법안' 지지"
(서울=연합뉴스) 황정우 기자 = 마이크로소프트(MS)에 이어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 능력을 더욱 제한할 수 있는 법안을 지지하고 나섰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3일 보도했다.
WSJ은 "엔비디아와 엔비디아의 두 최대 고객 사이에 불거진 드문 갈등"이라며 "인공지능(AI) 경쟁의 치열함을 보여준다"고 짚었다.
'게인 AI 법'(Gain AI Act)'으로 알려진 이 법안은 칩 업체들이 중국과 무기 금수 대상인 국가로 제품을 보내기 전 미국 내 수요를 우선 충족하도록 요구한다.
MS의 미국 정책 총괄 제리 페트렐라는 지난달 열린 한 콘퍼런스에서 법안이 "정말로 긍정적으로 보인다"며 공개적으로 지지했다.
AWS 관계자들도 상원 보좌진에게 지지 의사를 비공식적으로 밝혔다고 의회 보좌진과 사정을 잘 아는 관계자들이 전했다.
법안은 하이퍼스케일러(대규모 AI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인 MS와 AWS를 포함한 기술 기업들이 자사의 데이터센터에 들어갈 칩에 대한 우선 접근권을 확보해준다.
백악관 일부, 엔비디아, 다른 반도체 기업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MS와 AWS의 지지는 법안에 힘을 실어준다고 전문가들은 말했다.
또 다른 하이퍼스케일러인 구글과 메타는 아직 입장을 내지 않았으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입장을 밝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AI 모델 '클로드'를 개발한 앤트로픽도 법안을 지지하고 있다.
법안은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 등 민주당 핵심 의원들의 지지를 확보했지만, 진전을 위해서는 상원 은행위원회 팀 스콧 위원장(공화당)과 하원 공화당 지도부의 승인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WSJ은 전했다.
리서치업체 퓨처럼 그룹의 반도체 수석 애널리스트 레이 왕은 "일반적으로 하이퍼스케일러와 엔비디아 간 갈등은 제품 자체나 가격에 관한 것"이라며 "지금은 그 갈등이 훨씬 더 복잡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불필요하게 반도체 시장에 개입하는 법안이며 향후 더 많은 수출 규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미국에는 이미 칩이 충분하며, AI 산업의 주요 병목은 전력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AI 차르'로 불리는 데이비드 색스와 다른 행정부 관계자들은 법안을 발의한 짐 뱅크스(공화당) 상원의원에게 상무부에 이미 칩 수출 감독 권한이 있는 만큼 법안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의견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jungw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황정우






![[골프칼럼] <2397> 스윙의 가훈<家訓>을 실천하라](/_next/image?url=https%3A%2F%2Fres.cloudinary.com%2Fdzatyjuhh%2Fimage%2Fupload%2Fv1763154366%2Fupload%2Fdownload%2520%25281%2529.jpg&w=128&q=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