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온실가스 책임 없지만 기후기금 도움 못 받아
기후위기로 10년간 2억5천만명 집 잃어…더 커진 불평등
대부분 온실가스 책임 없지만 기후기금 도움 못 받아
(서울=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최근 10년간 홍수·가뭄·폭염 등 기후 위기로 터전을 잃은 거주 난민이 2억5천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부분은 온실가스 배출에 책임이 없지만 피해 구제 기금의 도움을 받지 못해 구조적인 불평등이 더 악화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유엔난민기구(UNHCR)는 이런 내용을 담은 기후난민 영향 보고서 '탈출은 없다Ⅱ: 나아갈 길'을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는 대규모 난민이 발생한 기후 위기 사례로 작년 5월 브라질의 히우그란지두술주 폭우를 언급했다. 당시 기록적인 양의 비가 내리면서 181명이 숨졌고 58만명이 집을 잃었다.
보고서는 기후 위기가 심화하면서 분쟁·폭력·강제 이주 등 기존의 불평등이 더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후 위기가 악재를 더 악화하는 '위험 증폭 요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전 세계 거주 난민의 절반 가까이가 분쟁과 기후 위기를 동시에 겪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대부분 수단·시리아·콩고민주공화국·레바논 등 정치적으로 취약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다. 분쟁·기후 위기를 동시에 겪는 국가는 2009년의 3배로 늘었다.
거주 난민의 4분의 3이 기후 위기 지역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피해가 반복되는 경우도 많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아프리카의 차드가 대표적인 사례다. 차드가 수용한 난민은 140만명을 웃돈다. 동시에 작년 한 해에만 홍수로 130만명 이상의 거주 난민이 발생했다. 지난 15년간 발생한 난민 규모보다 더 많은 것이다.
피해자들은 대부분 기후 위기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온실가스 배출에 큰 책임이 없지만 기후 기금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보고서는 기후 재앙을 억제하고 빈곤국을 돕기 위한 근본적인 조치가 마련되지 않으면 상황은 더 악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필리포 그란디 UNHCR 최고 대표는 "거주 난민이 늘어나는 것을 막으려면 기후기금이 벼랑 끝에 선 공동체에 닿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roc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민경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