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크로소프트(MS)와 엔비디아가 오픈AI의 경쟁사인 앤스로픽에 대규모 투자를 결정하면서 인공지능(AI) 산업의 동맹 구도가 변화하고 있다.
무슨일이야
18일(현지시간) MS는 블로그를 통해 “엔비디아와 함께 AI 모델 개발사 앤스로픽에 최대 150억 달러(약 22조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앤스로픽은 AI 서비스 ‘클로드’의 개발사로 오픈AI의 가장 강력한 대항마 중 하나다. 이를 통해 앤스로픽은 300억 달러 상당의 MS 클라우드 애저(Azure)를 사들여 1기가와트(GW) 규모의 컴퓨팅 용량을 확보했다.
MS는 오픈AI와 앤스로픽, 자체 MS 모델까지 모두 애저에서 제공할 수 있게 됐다. 기업 고객이 어떤 AI 모델을 선택하든 결과적으로 MS 클라우드 생태계를 중심으로 움직이게 하려는 전략이다. 그간 오픈AI 초기 투자사로서 챗GPT를 자사 서비스에 활용해온 MS가 오픈AI 의존도를 줄이고, 다양한 모델을 확보해 플랫폼 영향력을 키우려는 시도인 것이다.
이게 무슨 의미야
빅테크와 스타트업 간의 AI 동맹 네트워크는 한층 더 복잡해지고 있다. 빅테크가 AI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스타트업은 다시 해당 기업의 인프라를 대량 구매하는 순환식 거래(circular AI deals) 등을 통해서다. AI 스타트업은 성장 자금을 확보하고, 빅테크는 GPU 수요와 클라우드 고객을 장기간 묶어둘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방식이 최근 AI 업계의 뉴노멀이 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앤스로픽이 단일 기업으로 1GW 규모의 컴퓨팅 계약을 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1GW는 대형 발전소 하나가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전력 수준이다. 모델 개발 경쟁이 점차 알고리즘 성능을 넘어 전력·칩·데이터센터 등 물리적 인프라 확보 경쟁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AI 인프라 구축 경쟁이 격화되면서 기업들은 경쟁사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데이터센터 운영 등에 막대한 자금을 계속 투입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앞으로는
기업들의 투자 규모가 갈수록 커지면서 AI 거품론도 계속 확산되고 있다. AI 산업 전반의 투자 속도와 기업가치 상승이 실제 수익으로 이어질지에 대해 시장은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실제 이날 MS의 주가는 종가 기준 493.79 달러로, 2.7% 하락했다. 엔비디아의 종가도 181.36 달러로 전일 대비 2.81% 하락 마감했다.
권유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