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임팩트와 좋은 구질
팔로스루(follow through)의 개념이 분명치 않아 피니시(finish)를 소홀히 하는 골퍼가 의외로 많다. 정확히 설명하면 팔로스루란 임팩트의 한 과정이며 강한 임팩트와 좋은 구질을 만들기 위한 필수적 동작으로 나아가 장타의 산실임을 알아야 한다.
문제는 임팩트(impact)와 팔로스루 사이에서 자신도 모르게 일시 멈춤 현상이 생겨나지만 극히 짧은 순간동작이라 확인이 매우 어렵다. 그러나 양손동작의 움직임을 유심히 보면 이를 알 수 있으며 특히 피니시로 오르는 왼쪽팔꿈치를 보면 팔로스루 오류를 발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팔로스루가 부족한 골퍼의 대부분은 임팩트순간 왼쪽팔꿈치를 등 뒤쪽으로 당겨 왼쪽팔꿈치가 심하게 굽어진 상태로 피니시에 오른다.
물론 이 같은 일련의 동작 중에는 필수적으로 옮겨야 할 체중이동 즉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체중이 옮겨지지 않아 오른발에 50퍼센트 이상의 체중을 남긴 상태로 스윙을 끝내는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순간 정지현상으로 인한 단타와 슬라이스(slice) 훅(hook)등이 빈발하고 볼도 치기 전 뒤의 땅을 심하게 찍는 샷도 발생한다. 탑 스윙에서 임팩트로 연결되는 순간동작에서 클럽헤드의 가속과 탄력을 받은 스윙에 제동이 걸린다 뜻이다.
팔로스루의 진정한 의미는 "임팩트 후 클럽헤드가 볼을 따라간다"는 것으로 다른 말로는 익스텐션(extension) 즉 스윙궤도를 연장시킨다는 뜻도 함축되어 있다.
이 모든 일련의 동작들은 양손과 체중이동이 부드러워야 가능하며 탑 스윙에서 피니시 때까지 양손이 그리는 궤도가 원래의 위치를 찾아 돌아야 실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임팩트 후 왼손에 의해 클럽헤드가 지면을 따라 타원형을 그리고 양손 역시 작은 타원형을 그리며 피니시로 오르게 된다.
이와 같이 팔로스루에서 타원형이 생겨나면 당연히 오른발에 있던 체중이 왼발로 넘겨져 별도의 체중이동에 신경 쓰지 않아도 만족한 체중이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백 스윙때 오른쪽겨드랑이가 벌어지며 테이크 백(take back)을 시작하면 카킹(cocking)은 물론 체중이동도 되질 않아 다운스윙을 망치고 만다.
특히 백 스윙에서 중요한 것은 양 어깨와 팔 그리고 그립을 잡고 있는 양손에 힘에 들어가지 않은 상태로 부드러움이 따라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카킹(손목 꺾기)의 시작이 신체의 어느 부위로부터 시작되어야 올바른가를 알아둘 필요가 있다. 백 스윙을 시작하여 손목 꺾기를 시도할 때 양 손이 오른쪽허벅지를 지나면 손목 꺾기가 시작되고 자신의 오른쪽가슴높이에 이르러 섀프트(shaft)와 손목의 각도가 80도 이상 되어야 올바른 카킹이다.
이같이 카킹지점이 정확해야 다운스윙에서 손목 풀림이 늦어져 강한 임팩트와 함께 장타는 물론 체중이동도 보다 용이해 진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





![이장우♥조혜원, 8년 연애→오늘(23일) 결혼.."하객 1천명" 초호화 웨딩마치[Oh!쎈 이슈]](/_next/image?url=https%3A%2F%2Fres.cloudinary.com%2Fdzatyjuhh%2Fimage%2Fupload%2Fv1763864346%2Fupload%2F202511221752778490_69218e77db131.jpg&w=128&q=75)
